1. 5급공채 정치학 시험 대비 기본서
2. 정치학의 기본적인 문제의식과 기초적 개념 학습
3. 베리타스법학원 정치학 강의 교재
28,000스콘
1. 5급공채 정치학 시험 대비 기본서
2. 정치학의 기본적인 문제의식과 기초적 개념 학습
3. 베리타스법학원 정치학 강의 교재
제1편 정치학의 기초
제1장 정치의 본질 / 정치권력과 정당성
제1절 정치에 대한 정의
Ⅰ. 인간과 정치 / 3
Ⅱ. 정치의 본질에 대한 접근 / 6
제2절 정치권력과 정당성
Ⅰ. 정치와 정치권력 / 13
Ⅱ. 정치권력에 대한 이론적 베이스 / 17
제3절 갈등의 정치, 그리고 한국 정치의 현실 / 35
제2장 현대정치학의 사상적 기초
제1절 정치사상과 이데올로기
Ⅰ. 이데올로기의 개념과 기능 / 43
Ⅱ. 고전 정치사상 : 도시국가와 정치사상 / 47
Ⅲ. 마키아벨리 / 48
Ⅳ. 사회계약론 / 52
제2절 자유주의
Ⅰ. 자유주의의 원리 / 63
Ⅱ. 현대자유주의 / 66
제3절 공화주의 / 공동체주의
Ⅰ. 공화주의 / 80
Ⅱ. 공동체주의(communitarianism) / 84
제2편 민주주의
제1장 개 관
제1절 민주주의 개념의 다양성
Ⅰ. 민주주의의 정의 / 99
Ⅱ. 민주주의와 지배의 의미 : 실질적 민주주의와 절차적 민주주의 / 110
Ⅲ. 직접민주주의와 간접민주주의 / 116
Ⅳ.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그리고 자유민주주의 / 121
제2절 민주주의에 대한 역사적 고찰
Ⅰ. Polis 민주주의 / 127
Ⅱ. 근대민주주의 / 128
Ⅲ. 현대사회와 민주주의 / 131
제2장 현대 민주주의 원리와 모델
제1절 현대 민주주의 원리, 현실
Ⅰ. 다수결주의 / 135
Ⅱ. 대표의 원리 : 대의제 / 156
Ⅲ. 법의 지배, 입헌주의 / 167
Ⅳ. 자유와 평등 / 180
Ⅴ. 민주주의와 포퓰리즘(populisim) / 188
Ⅵ. 민주주의와 언론 / 198
제2절 민주주의의 대안적 모델들
Ⅰ. 참여민주주의 / 204
Ⅱ. 결사체 민주주의 / 213
Ⅲ. 심의(Deliberative ; 협의·토의) 민주주의 / 216
Ⅳ. 경제민주주의 / 231
제3장 민주주의 이행과 공고화
제1절 민주주의 이행론들
Ⅰ. 구조 중심의 연구 / 237
Ⅱ. 민주주의 이행론 : 전략적 선택이론 / 240
Ⅲ. 제도론적 접근 / 243
Ⅳ. 정 리 / 244
제2절 민주주의 공고화
Ⅰ. 민주주의 공고화의 의의 / 253
Ⅱ. 민주주의 공고화의 조건 : 개념 논쟁 / 255
제3절 한국의 민주주의 이행과 포스트 이행기의 과제
Ⅰ. 한국 민주화과정 개관 / 218
Ⅱ. 권위주의 형성과 해체, 그리고 민주주의의 지체 / 221
제4장 정치환경변화와 민주주의 조건
제1절 지구화에 관한 고찰
Ⅰ. 지구화(globalization)의 본질 / 268
Ⅱ. 지구화의 양면성 : 지구화와 효율성, 국가, 민주주의 / 271
제2절 정보사회와 민주주의
Ⅰ. 개 관 / 283
Ⅱ. 정보사회와 민주주의 관련된 쟁점들 / 289
Ⅲ. 전자민주주의 / 291
Ⅳ. Web2.0 / 소셜미디어 / SNS, 그리고 민주주의 / 296
Ⅴ. 전자투표 / 306
제3절 후기 산업사회 / 탈근대, 그리고 정치
Ⅰ. 후기산업사회 / 탈근대 / 309
Ⅱ. 네트워크 사회 / 311
Ⅲ. Ⅲ. 4차 산업혁명 / 314
Ⅳ. 위험사회와 정치논리 / 320
Ⅴ. 다문화사회와 다문화주의 / 325
제3편 정치체제, 정치과정, 정치문화
제1장 정치과정에 대한 이해 / 335
제2장 민주주의와 이익집단
제1절 이익집단에 관한 이론
Ⅰ. 기본 시각과 주요 개념 / 339
Ⅱ. 이익집단론의 전개 / 342
Ⅲ. 보론 : 한국 이익집단의 정치 / 347
제2절 이익대표체계
Ⅰ. 다원주의적 이익대표체계 / 348
Ⅱ. 코포라티즘(조합주의) / 349
제3장 정당정치와 민주주의
제1절 개 관
Ⅰ. 정당의 개념과 기능 / 352
Ⅱ. 정당과 민주주의 / 353
Ⅲ. 정당의 종류 / 354
제2절 정당에 관한 연구
Ⅰ. 전통적 논의 / 357
Ⅱ. G. Sartori의 정당체계론 / 357
Ⅲ. 정당의 변천과 후기산업사회 정당 / 362
Ⅳ. 정당정치와 정당체계의 동태적 변화 : 균열구조․행위․제도차원 / 369
Ⅳ. 정당 조직과 당내 민주화 / 375
제3절 민주주의와 정당정치 제도화
Ⅰ. 민주주의와 정당정치 / 384
Ⅱ. 한국 정당정치 제도화 수준 / 385
Ⅲ. 한국 정당정치에 대한 진단과 개혁과제 / 388
제4장 선거제도와 민주주의
제1절 선거제도의 개관
Ⅰ. 선거와 민주주의 / 395
Ⅱ. 선거제도의 정향(평가준거) / 397
제2절 선거제도와 선거정치
Ⅰ. 선거제도의 종류 / 399
Ⅱ. 유권자 투표행태 / 412
Ⅲ. 선거제도와 정당체계의 관계 / 417
제3절 한국 선거제도의 문제점과 개혁방향
Ⅰ. 한국의 선거제도 :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 420
Ⅱ. 현행 선거제도의 문제점 / 424
Ⅲ. 한국 선거제도의 개혁 / 425
Ⅳ. 선거제도 개혁에 대한 소고 / 430
제5장 정부형태와 정부제도
제1절 정부형태 논의
Ⅰ. 정부형태와 민주주의 / 433
Ⅱ. 이원집정부제(dual executive system ; Semi-presidential system) / 443
Ⅲ. 한국의 정부형태와 개헌 논의 / 448
Ⅳ. 분점정부 / 454
제2절 의회제도 / 409
Ⅰ. 의회의 기능 및 역할 / 458
II. 단원제 국회와 양원제 국회 / 462
Ⅲ. 본회의 중심주의와 상임위원회 중심주의 / 464
Ⅳ. 정치발전을 위한 국회의 활성화 / 467
제3절 대통령 / 415
Ⅰ. 대통령의 권한 / 471
Ⅱ. 의회와 대통령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 471
Ⅲ. 대통령의 리더십 / 480
제6장 정치문화와 정치제도
Ⅰ. 기본개념 / 482
Ⅱ. 한국의 정치문화와 유교에 대한 해석 / 485
Ⅵ. 사회자본 / 493
제4편 정치학의 제이론
제1장 국 가 론
제1절 근대국가 / 449
Ⅰ. 국가의 개념정의 / 505
Ⅱ. 근대국가의 형성과 특징 / 506
제2절 국가의 본질 : 국가에 관한 제 이론
Ⅰ. 국가와 경제 : 정치경제학적 접근 / 508
Ⅱ. 국가와 사회 : 정치사회학적 접근과 세 가지 패러다임 / 510
제3절 국가능력과 자율성
Ⅰ. 국가관료제 / 512
Ⅱ. 국가의 자율성 / 515
제2장 시장과 민주주의
제1절 기본 개념 / 465
Ⅰ.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 521
Ⅱ. 시장실패와 국가실패 / 523
Ⅲ. 포디즘과 포스트포디즘 / 528
제2절 시장(자본주의)과 민주주의
Ⅰ. 개관 : 관련 이론들 / 530
Ⅱ. 시장과 민주주의의 상호관계 / 535
Ⅲ. 시장과 사회의 통합 /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 538
제3절 국가와 시장
Ⅰ. 국가와 시장경제체제의 관계 / 541
Ⅱ. 신자유주의 개혁과 복지ㆍ발전국가의 변형 / 547
Ⅲ. 동아시아 발전국가 / 560
제3장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제1절 개 관
Ⅰ. 시민사회의 정의와 특성 / 569
Ⅱ. 한국의 시민사회한국의 시민사회 / 575
제2절 시민사회․NGO․신사회운동
Ⅰ. 신사회운동 / 579
Ⅱ. NGO와 한국민주주의 심화를 위한 과제 / 583
제4장 국가, 시장, 시민사회, 거버넌스
Ⅰ. 거버넌스 개념 / 587
Ⅱ. 정치체제의 사회경제적 성취수준과 거버넌스 / 590
Ⅲ. 거버넌스와 정치과정 / 593
제5장 기타 정치학 이슈들
제1절 이념 논쟁 : 진보와 보수
Ⅰ. 보수주의와 진보주의 / 603
Ⅱ. 진보와 보수, 한국의 이념지형 / 611
제2절 민족주의
Ⅰ. 민족주의의 정의 및 관점 / 613
Ⅱ. 민족주의의 전개 / 615
Ⅲ. 민족주의의 관련 이슈 / 617
제3절 탈전통적ㆍ탈근대 사회 이슈
Ⅰ. 환경문제와 환경정치 / 622
Ⅱ. 에너지 / 646
Ⅲ. 여성정치 / 655
Ⅲ. 인권 : 인도주의 개입, 발전, 빈곤ㆍ기아 / 659
제4절 제3세계 정치
Ⅰ. 권위주의 이론 / 669
Ⅱ. 관료적 권위주의(Bureaucracy Authority ; B·A체제) / 670
Ⅲ. 권위주의 이론과 한국의 정치체제 / 671
Ⅲ. 종속이론 / 673
제5절 정치학의 접근방법 / 기타 이론
Ⅰ. 정치현상에 대한 두 가지 접근 / 674
Ⅱ. 접근방법들 / 688
Ⅲ. 제도연구 : 신제도주의 / 697
제5편 국제정치
제1장 국제정치학의 기초 개념
Ⅰ. 국력과 국익 / 703
Ⅱ. 주권과 안보 / 705
Ⅲ. 무정부성의 문제 / 710
Ⅳ. 보론 : 국제정치에서 권력(power) 개념 / 711
제2장 국제정치학의 주요 이론
제1절 국제정치학의 이론논쟁의 흐름과 패러다임
Ⅰ. 개 관 / 723
II. 이상주의 / 726
III. 현실주의 패러다임 / 733
III. 자유주의 패러다임 / 746
IV. 구성주의 : Alexander Wendt / 753
V. 기타이론 / 755
제2절 국제정치 이론들 / 623
Ⅰ. 국제체제 / 770
Ⅱ. 세력균형(Balance of Power ; BOP) / 776
Ⅲ. 전쟁, 동맹, 핵 / 786
Ⅴ. 국제레짐 / 820
Ⅵ. 지역통합, 신지역주의 / 822
Ⅴ. 국제정치경제질서의 변화 / 835
Ⅵ. Two-Level Games(양면게임) / 859
Ⅶ. 문명충돌론(The Clash of Civilizations) / 862
Ⅷ. 공공외교(Public Diplomacy) / 868
Ⅸ. 중견국 외교와 한국 / 872
제3장 남 북 정 치
제1절 동북아 질서와 한국의 전략적 선택 / 671
Ⅰ. 동북아 안보환경 / 882
Ⅱ. 미국과 중국의 대외정책과 미-중 전략경쟁 / 886
Ⅲ. 한미동맹 / 905
Ⅳ. 일본의 대외정책 / 913
제2절 분단체제와 북한 문제 / 698
Ⅰ. 북한 문제의 성격변화 / 921
Ⅱ. 북한의 체제위기와 예상시나리오 / 921
Ⅲ. 북핵 문제와 정책적 대응 / 927
Ⅲ. 대북정책의 방향 : 협상과 게임 / 943
Ⅳ. 보론 : 통일대박론과 통일의 조건 / 949
부 록
참 고 문 헌 / 953
기 출 문 제 / 969
색 인 / 996
상품평
아직 상품평이 없습니다.
상품을 구매한 로그인 고객만 상품평을 남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