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어 첫걸음
언어 분류 상 셈어족에 속하는 아랍어는 서아시아 및 북부 아프리카에 위치한 22개 아랍국가에서 모국어 또는 공용어로 사용되는 언어이다. 즉, 이집트, 수단, 리비아,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모리타니아, 지부티, 소말리아, 코모로군도 등의 북아프리카 국가와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아랍에미리트, 바레인, 카타르, 쿠웨이트, 예멘 등의 아라비아 반도 국가, 이라크,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 팔레스타인 등 이른바 ‘비옥한 초생달 지역(Al-Hilaal)’에서 약 3억의 인구가 아랍어를 모국어 또는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아랍어는 국제 연합(UN)의 6개 공용어 이자 아프리카 통합 기구(OAU)의 공식 회의어이며, 이
슬람 연맹에 가입된 약 60여개 이슬람 국가뿐 아니라 전 세계 13억 이상의 무슬림들이 예배어로 사용하는 언어이다.
최근 한국과 아랍 세계 간의 다방면 교류 증가로 인해 아랍어와 아랍문화에 대한 국내 학습자들의 관심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학습 자료의 필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을 감안하여, 본 저서는 아랍어에 처음 입문하는 초보자들이 보다 쉽게 아랍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아랍어의 자음과 모음, 주요 발음 부호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과 더불어 일상생활에서 벌이지는 다양한 상황 별 필수 어휘와 주요 표현의 학습에 중점을 두었다.
본문 중에서
언어 분류 상 셈어족에 속하는 아랍어는 서아시아 및 북부 아프리카에 위치한 22개 아랍국가에서 모국어 또는 공용어로 사용되는 언어이다. 즉, 이집트, 수단, 리비아,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모리타니아, 지부티, 소말리아, 코모로군도 등의 북아프리카 국가와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아랍에미리트, 바레인, 카타르, 쿠웨이트, 예멘 등의 아라비아 반도 국가, 이라크, 요르단, 레바논, 시리아, 팔레스타인 등 이른바 ‘비옥한 초생달 지역(Al-Hilaal)’에서 약 3억의 인
구가 아랍어를 모국어 또는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아랍어는 국제 연합(UN)의 6개 공용어 이자 아프리카 통합 기구(OAU)의 공식 회의어이며, 이슬람 연맹에 가입된 약 60여개 이슬람 국가뿐 아니라 전 세계 13억 이상의 무슬림들이 예배어로 사용하는 언어이다.
전 세계 13억에 달하는 무슬림들이, 본인의 모어와 국적에 관계없이 예배를 드릴 때 아랍어로 예배를 드리고 있다는 사실은 이슬람교와 아랍어의 밀접한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아랍인들과 무슬림들에게 이슬람교는 종교이기 이전에 그들의 삶의 방식이고 철학이다. 따라서 이슬람교의 교리를 담고 있는 코란과 코란을 기록한 언어인 아랍어에 대한 아랍인들의 경외심은 비(非)아랍인이나 비(非)무슬림들의 상상을 뛰어 넘는다. 이는 아랍인들의 정신세계를 받치고 있는 기둥 중의 한 가지가 아랍어라는 점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한국과 아랍 세계 간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유래가 깊다. 이러한 과거의 역사적 사실과 오늘날 아랍 세계와 우리나라의 관계를 조명해 볼 때,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시각에서의 아랍어 및 아랍 문화에 대한 총체적 접근 및 이해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최근 한국과 아랍 세계 간의 다방면 교류 증가로 인해 아랍어와 아랍문화에 대한 국내 학습자들의 관심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학습 자료의 필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을 감안하여, 본 저서는 아랍어에 처음 입문하는 초보자들이 보다 쉽게 아랍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아랍어의 자음과 모음, 주요 발음 부호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과 더불어 일상생활에서 벌이지는 다양한 상황 별 필수 어휘와 주요 표현의 학습에 중점을 두었다. 본 저서가 학습자들
로 하여금 아랍어 학습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갖게 하여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등 기본적인 아랍어 구사 능력을 효율적으로 학습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상품평
아직 상품평이 없습니다.
상품을 구매한 로그인 고객만 상품평을 남길 수 있습니다.